1. 열려있는 포트 상시 확인하기 서버 관리자라면 내 서버의 어떤 포트가 열려있고, 내가 사용하는 포트는 무엇인지 명확하게 알고 있어야 한다. 아래 명령어를 통해 어떤 포트가 사용중인지 조회하여 볼 수 있다. [root@localhost ~]# netstat -nlp Active Internet connections (only servers) Proto Recv-Q Send-Q Local Address Foreign Address State PID/Program name tcp 0 0 0.0.0.0:8000 0.0.0.0:* LISTEN 26788/node tcp 0 0 0.0.0.0:1234 0.0.0.0:* LISTEN 1897/ruby tcp 0 0 0.0.0.0:22 0.0.0.0:* LISTEN..
SSH 로의 해킹이 의심되거나, 어떤 명령어를 실행하였는지 기억이 안날때 가장먼저 확인하는것이 아마 History 일 것이다.(물론 해킹의 경우 초보가 아니고서야 로그를 다 삭제하겠지만.. 로그를 동시에 원격 저장해놓아야 한다.) # history 를 쳐보면. 별다른것 없이 그냥 기존에 쳤던 명령어들만 쭈우욱 나온다.근데 이 명령어를 언제 쳤었는지도 알아야 할때가 있다! 그럴땐.. profile 을 수정하여 확인 할 수 있다. vi 로 들어가서 수정하고 이런작업 없이 그냥 쉘에서 투터치로 끝내는 것으로 history 에 시간을 출력해보자 1. # echo 'export HISTTIMEFORMAT="%Y/%m/%d %H:%M:%S "' >> /etc/profile 2. # source /etc/profil..
- Total
- Today
- Yesterday
- 손석희
- node.js
- 노드
- Swift
- GIT
- 스위프트
- Android
- 깃헙
- xcode
- 배열
- Asterisk
- C언어
- 서버
- nodejs
- 리눅스
- CentOS
- linux
- IOS
- 점유율
- php
- Node
- 안드로이드
- Kotlin
- Phaser
- 앵커브리핑
- C
- git hub
- mysql
- BBC 가쉽
- 뉴스룸
일 | 월 | 화 | 수 | 목 | 금 | 토 |
---|---|---|---|---|---|---|
1 | ||||||
2 | 3 | 4 | 5 | 6 | 7 | 8 |
9 | 10 | 11 | 12 | 13 | 14 | 15 |
16 | 17 | 18 | 19 | 20 | 21 | 22 |
23 | 24 | 25 | 26 | 27 | 28 |