1. Hello World !node.js ) 1일차 - Hello World ! 2. 웹서버 구동node.js ) 2일차 - 웹서버 구동 3. 함수 작성node.js ) 3일차 - 함수 작성 4. 이벤트형 처리node.js ) 4일차 - 이벤트형 처리 - 지금까지는 웹 서버를 server.js 라는 파일 하나로만 만들어 보았다.하지만, 점점 server.js 에 추가할 코드들이 많아질 것이고, 점ㅁ점 더 읽기 어려워지며, 찾기 어려워 질 것이다.node.js 는 웹서버 작성을 굳이 한파일에 몰아 쓸 필요가 없다. 웹서버 js 파일의 모듈화를 진행해보자. 1. 5 일차 노드 폴더 작성 [root@localhost node_test]# mkdir node_5[root@localhost node_test]#..
1. Hello World !node.js ) 1일차 - Hello World ! 2. 웹서버 구동node.js ) 2일차 - 웹서버 구동 3. 함수 작성node.js ) 3일차 - 함수 작성 1. 4 일차 노드 폴더 작성 [root@localhost node_test]# mkdir node_4 [root@localhost node_test]# cd node_4 2. Server.js 작성 [root@localhost node_4]# vi server.js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var http = require('http'); var server = http.createServer(); server.addListener('request', function (request,..
1. Hello World !node.js ) 1일차 - Hello World ! 2. 웹서버 구동node.js ) 2일차 - 웹서버 구동 헬로월드와 웹서버를 구동시켜봤다. 이번엔 2일차에서 만든 웹서버를 함수형식으로 변경해보자.동작결과는 2일차와 똑같다. 1. 3일차 폴더 생성 및 js 생성 # mkdir /node_3# cd /node_3# vi server.js--------server.js------var http = require('http'); function onRequest(request, response) { response.writeHead(200, {'Content-Type' : 'text/plain'}); response.write('Hello World'); response.end..
1. 노드 2일차 폴더 하나 새로 만듬 # mkdir /node_2# cd /node_2 2. server.js 파일 작성 # vi server.js ------------server.js-----------var http = require('http'); http.createServer(function (request, response) { response.writeHead(200, {'Content-Type' : 'text/plain'}); response.write('Hello nodejs'); response.end();}).listen(8888);----------------------- 3. server.js 실행 # node server.js.... * server.js 를 실행하면 아무 반..
환경 : CentOS 7(노드.js 및 npm 패키지는 사전에 설치되어있다고 가정. 설치법은 구글에 뒤져보면 쭈ㅜㅜㅜㅜ욱 나옴) 1. 노드를 위한 디렉토리를 하나 만듬. (아무곳이나 만들어도 상관없음) # mkdir /node# cd /node 2. 노드 웹서버의 근간이 될 js 파일 작성 # vi server.js 3. Hello world 출력 -------- server.js --------console.log('Hello world ! ');--------------------------- 4. 실행 # node server.jsHello World !
추가작업 -> 유사한 메일 필터링 이 검색기준으로 필터 만들기 절대 스팸으로 신고하지 않ㅋ음ㅋ
http://kwonnam.pe.kr/wiki/linux/yum 1. 여러가지 확인"Loading mirror speeds from cached hostfile"에서 멈춘 상태Loaded plugins: fastestmirror Loading mirror speeds from cached hostfile위와 같은 상태로 yum 명령이 멈췄다면 linux - yum hangs and won't respond 참조.nslookup google.com 으로 DNS에 문제 없는지 확인하고, 안되면 DNS 맞추기 작업.DNS를 확인했는데 원래 잘 됐다면, rm -f /var/cache/yum/timedhosts.txt하고 재실행하고 확인.그래도 안되면 yum --noplugins 명령으로 fastestmirror..
Private Function IsPortOpen(ByVal Host As String, ByVal PortNumber As Integer) As BooleanDim Client As TcpClient = NothingTryClient = New TcpClient(Host, PortNumber)Return TrueCatch ex As SocketExceptionReturn FalseFinallyIf Not Client Is Nothing ThenClient.Close()End IfEnd TryEnd Function ' 사용법Dim Port As Integer = 55061Dim Hostname As String = "222.122.85.123" Dim PortOpen As Boolean = IsPortO..
O2O : online to offline PC나 스마트폰으로 오프라인 매장을 연결시켜주는 전자상거래 방식
쉘에서 아래와 같은 명령어를 쳐보면, 각 DB 별 용량을 확인 할 수 있다. # du -h /var/lib/mysql 451M /var/lib/mysql/mya2billing6.1M /var/lib/mysql/vtigercrm521424K /var/lib/mysql/hip2billing148K /var/lib/mysql/mvoip4.0K /var/lib/mysql/test84K /var/lib/mysql/roundcubedb8.0K /var/lib/mysql/namuweb7.8M /var/lib/mysql/asterisk301M /var/lib/mysql/asteriskcdrdb88K /var/lib/mysql/meetme840K /var/lib/mysql/mysql46M /var/lib/mysql/pu..
- Total
- Today
- Yesterday
- Node
- 노드
- Swift
- IOS
- GIT
- xcode
- Asterisk
- git hub
- 점유율
- mysql
- php
- C언어
- 뉴스룸
- 앵커브리핑
- Kotlin
- BBC 가쉽
- node.js
- Phaser
- linux
- 깃헙
- 서버
- Android
- 안드로이드
- 리눅스
- 손석희
- CentOS
- 배열
- nodejs
- C
- 스위프트
일 | 월 | 화 | 수 | 목 | 금 | 토 |
---|---|---|---|---|---|---|
1 | ||||||
2 | 3 | 4 | 5 | 6 | 7 | 8 |
9 | 10 | 11 | 12 | 13 | 14 | 15 |
16 | 17 | 18 | 19 | 20 | 21 | 22 |
23 | 24 | 25 | 26 | 27 | 28 |